네이버는 7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네이버 검색 콜로키움 'NAVER X AI 2017'을 열고 검색 기술에 인공지능이 적용된 사례를 공유하며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현재 네이버 검색에서 축적된 '빅데이터'와 '인프라' 등이 AI 연구개발에 활용되고 있으며, AI 역시 검색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되는 등 검색과 AI는 독립된 영역이 아닌 서로 밀접한 연계성을 갖는다.
실제 네이버i, 추천, 이미지검색 등 검색 서비스에 딥러닝, 인공신경망 등의 AI기술을 접목시킨 상호 결합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네이버는 앞으로 검색의 더 많은 영역에서 AI 활용이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 검색을 총괄하는 김광현 리더는 "최근 AI의 급격한 발전은 인프라와 빅데이터로 표현되는 대용량 데이터, 딥러닝을 비롯한 다양한 알고리듬이 뒷받침된 것"이라며 "검색 역시 데이터, 인프라, 알고리듬을 바탕으로 발전해 온 대표적인 서비스로 AI연구개발과 상호 연계가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이번 콜리키움을 통해 검색 기술 개발 과정을 공유하고, 실제 서비스 적용 과정에서의 문제해결 방식, 데이터 활용 등을 주제로 외부 전문가들과 다양한 의견을 교류했다.
이번 콜로키움에는 김광현 리더를 비롯, 네이버 검색 연구개발자들이 대거 참여해 ▲검색과 빅데이터 처리 ▲추천 ▲딥러닝과 자연어처리 ▲비전과 로보틱스 등 총 4개 세션에 걸쳐 17개 주제에 대한 네이버의 AI 연구개발 사례와 노하우 등을 공개했다.
이를 통해 콜로키움 참석자들은 네이버의 연구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네이버 개발자들과 기술 적용 과정에서의 활용된 데이터, 적용방식 등에 대해 전문적 식견을 나눴다.
또한 네이버는 콜로키움 행사장에 각 개별 연구에 대한 데모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쇼케이스 부스를 마련하고 포스터 세션도 진행해 참석자들과 AI가 접목된 서비스, 기술에 대해 보다 심도깊은 토론을 진행했다.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네이버 쇼핑 추천시스템, 인공신경망 번역(NMT)방식의 '파파고(papago)', M1 & 자율주행, AI 플랫폼 클로바, 네이버 키보드 β, 주제별 질의의 서브토픽 자동 추출 및 구조화 등을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쇼핑 추천시스템은 사용자의 쇼핑 이력과 컨텐츠 소비 이력을 분석해 판매자와 사용자 간의 보다 원활한 상품 유통을 지원하는 '딥러닝'과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해 개인화된 상품 추천결과를 제공한다.
네이버 키보드 β는 기본 설정된 키보드창에서 네이버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앱이다. 파파고 번역도 키보드창에서 사용할 수 있다.
네이버는 키보드 β에 대해 "대부분의 스마트폰앱은 정보를 얻거나 나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무언가를 입력해야 한다"며 "'이 입력 과정을 조금 더 편리하고 즐겁게 해 줄 수 있을까'라는 물음에 대해, 네이버 검색이 할 수 있는 것을 지난 7개월 간 고민한 결과물"이라고 소개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