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출하를 기다리는 달걀들' 16일 오전 경기도 양주시 한 산란계 농장 출하장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달걀을 선별하고 있다. (뉴시스)
소비자협의회는 지난해 9월 국정감사를 앞두고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회에 제출한 답변서 내용을 가장 먼저 지적했다. 2013년 초부터 2016년 상반기까지 농림축산식품부·식약처의 검사실적을 함께 공개한 것인데 산란농장과 달걀의 잔류 농약 검사가 단 한 번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협의회는 "국정감사에서 양계장의 살충제 사용 문제를 지적하자 부랴부랴 60여 곳(전체 산란계 농장의 4% 정도)을 조사해 '유해성분이 나오지 않았다'고 발표했다"며, "관련 당국은 살충제 사용이 가장 많을 가능성이 있는 7~8월 여름시기에는 정작 손을 놓고 무사 안일한 태도를 취해 지금의 사건을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소비자협의회는 이번 살충제 달걀 파동을 계기로 가축사육농장·사료·도축장·가공장·유통업체까지 점검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농가의 살충제 투입경로를 확실히 파악해 근본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식약처가 닭고기의 잔류농약 검사도 당장 실시해 소비자가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게 하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가 시행하는 산란계 농장 전수조사 결과를 숨김없이 밝히고, 문제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구입 유통매장에서 환불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정부가 가축 사육 농장의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관리감독 방안을 제시하고 생산업계 역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하라고 요구했다.